후설 모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모음은 혀의 최고점 위치가 뒤쪽에 있는 모음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는 고후설 비원순 모음 ɯ, 고후설 원순 모음 u, 개후설 비원순 모음 ɑ 등 다양한 후설 모음이 있으며, IPA 기호가 없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에서는 'ㅡ', 'ㅜ', 'ㅓ', 'ㅗ', 'ㅏ'와 같은 모음이 후설 모음에 해당한다. PHOIBLE에 따르면, /u/가 가장 흔한 후설 모음이며, /ɒ/는 가장 드물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설 모음 | |
---|---|
음성학적 정보 | |
종류 | 모음 |
발음 위치 | 후설모음 |
조음점 | 뒤쪽 |
특징 | |
설명 |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입의 뒤쪽에 위치하는 모음 |
관련 용어 | 원순성 고모음 저모음 근고모음 근저모음 |
예시 | |
국제 음성 기호 | u u o o ɔ ɔ ɑ ɑ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문화어) | 뒤모음 |
2. 조음 위치 및 분류
후설 모음은 혀의 최고점 위치가 뒤쪽에 있는 모음이다.
평순 모음 | 원순 모음 | |
---|---|---|
고모음 | ㅡ | ㅜ |
중모음 | ㅓ | ㅗ |
저모음 | ㅏ |
후설 모음은 조음 방식에 따라 단일 범주를 형성하지 않는다.[2]
- 원순 모음
- 원순 후설 고모음
- 원순 후설 반고모음
- 원순 후설 중고모음
- 원순 후설 중모음
- 원순 후설 중저모음
- 원순 후설 저모음
- 평순 모음
- 평순 후설 고모음
- 평순 후설 반고모음
- 평순 후설 중고모음
- 평순 후설 중모음
- 평순 후설 중저모음
- 평순 후설 저모음
2. 1. 국제음성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IPA)는 후설 모음을 세밀하게 분류하기 위한 기호들을 제공한다. 후설 모음은 조음 방식에 따라 단일 범주를 형성하지 않으며, 와 같이 고모음이거나 와 같이 후퇴 모음일 수 있다.[2]국제 음성 기호에 전용 기호가 있는 후설 모음은 다음과 같다.
- 고후설 비원순 모음
- 고후설 원순 모음
- 근고후설 원순 모음
- 근폐후설 비원순 모음
- 근폐후설 원순 모음
- 개반후설 비원순 모음
- 개반후설 원순 모음
- 개후설 비원순 모음
- 개후설 원순 모음
2. 1. 1. 원순 모음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모음이다.평순 모음 | 원순 모음 | |
---|---|---|
고모음 | ㅡ | ㅜ |
중모음 | ㅓ | ㅗ |
저모음 | ㅏ |
- 원순 후설 고모음
- 원순 후설 반고모음
- 원순 후설 중고모음
- 원순 후설 중모음
- 원순 후설 중저모음
- 원순 후설 저모음
2. 1. 2. 평순 모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지 않고 발음하는 모음이다.평순 모음 | |
---|---|
고모음 | ㅡ |
중모음 | ㅓ |
저모음 | ㅏ |
- 평순 후설 고모음
- 평순 후설 반고모음
- 평순 후설 중고모음
- 평순 후설 중모음
- 평순 후설 중저모음
- 평순 후설 저모음
2. 1. 3. 기타 후설 모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 전용 기호가 없는 후설 모음은 인접 모음 기호에 분음 부호를 추가하여 표기한다.- 고후설 압축 모음 ɯᵝ|und 또는 uᵝ|und
- 근고후설 비원순 모음 ɯ̽|und 또는 ʊ̜|und
- 근고후설 압축 모음 ɯ̽ᵝ|und 또는 ʊᵝ|und
- 근폐후설 압축 모음 ɤᵝ|und 또는 oᵝ|und
- 중설 비원순 모음 ɤ̞|und 또는 ʌ̝|und
- 중설 원순 모음 o̞|und 또는 ɔ̝|und
다른 후설 모음은 u̞|und, o̝|und 또는 ʊ̠|und와 같이 인접한 모음에 대한 문자에 상대적 조음의 분음 부호를 적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2. 2. 한국어의 후설 모음
PHOIBLE(포이블)에 따르면, 가장 흔한 음소 후설 모음은 /u/로, 약 88%의 언어에서 나타나며, 가장 드문 음소 후설 모음은 /ɒ/로, 기록된 음소 목록의 2%에서만 나타난다.[3]
[1]
서적
The Poetic Mode of Speech Percep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2-02
3. 언어별 빈도
한국어의 경우 평순 고모음 'ㅡ', 평순 중모음 'ㅓ', 평순 저모음 'ㅏ', 원순 고모음 'ㅜ', 원순 중모음 'ㅗ'와 같이 다양한 후설모음이 있다.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ㅡ ㅜ 중모음 ㅓ ㅗ 저모음 ㅏ
참조
[2]
논문
"The Epilaryngeal Articulator: A New Conceptual Tool for Understanding Lingual-Laryngeal Contrasts"
https://www.mcgill.c[...]
2012
[3]
서적
PHOIBLE 2.0
https://phoible.org/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